CHON YOUNG HEE
전영희의 ‘숨’
작가는 1994년경부터 경석(coarse pumice gel)이라는 물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이 재료를 캔버스에 고루 발라서 밑바탕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바탕 위에 농도를 조절하며 색을 올리면서 나타나는 효과에 흥미를 느꼈다. 그 재료는 화면에 촉촉하게 스며들면서 화면과 매체가 자연스럽게 밀착하는 느낌을 주었고, 이는 마치 동양화에서 묵이 한지에 스며드는 상태를 연상하게 하였다고 한다. 전영희는 한 겹의 촉촉한 재질을 바르고 그 재질이 화면에 스며드는 것을 기다렸다가 그 다음의 층을 바른다. 이 과정은 마치 캔버스가 한 겹의 재질을 들이마시고 기다렸다가 다시 한 겹을 들이마시는 ‘숨’을 쉬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전영희는 직접적인 수(手)작업으로 작품을 만든다. 따라서 붓질의 폭, 세기, 방향은 작가 자신의 신체성과 결부되어 운용된다.
전영희의 작업은 재료의 물질적 특성을 창작에 활용하면서작가가 직접 매체의 물질성에 개입하여 만들어지는 캔버스 위의 변화와 효과에 주목하는 단색화의 특성과 맥을 같이 하는 작업이다. 단색화 작가들의 작업 철학이었던 매체와의 합일은 후대 작가들에게 깊고 폭넓은 파장을 남겼는데 그 중에 하나는 바로 전통 동양화의 작업 특징을 서양화의 매체를 통해 재실현하는 예술적 구성에 대한 재발견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재구성(reconfiguration)은 동양화의 특징을 단순하고 한정적으로 서양화에 적용한다기보다 작가들이 다양한 매체를 갖고 특정 작업 방법을 통해 동양화의 근간(根幹)을 자유롭게 실현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렇게 하여 ‘확장된 회화(extended painting)’는 단순히 전통이나 동아시아성(性)으로의 복귀가아닌 전통적 방법론과 현대회화 작업의 ‘연결점’을 이해하여 연결형태를 발견해낸 것이었다. [ … ]
전영희는“그림은 완결체라기 보다는 영원한 미결 상태, 늘 진행중인 미완의 심경 같은 것일 게다”라고 했다.나는 이 ‘미완의 심경(心境)’에 대해서 다 명확하게 이성적으로 규명될 수 없다는 점을 납득한심경의 상태를 비춘 것이라고 설명하고 싶다. 그렇기 때문에 관객은 전영희의 회화 앞에서 심정적 여유를 경험한다. 이 ‘여유’속에서 잠시 일상성을 유예(猶豫)하고 작가의 작품을 응시하고 기억하고 새로운 느낌과 의식을 상상해 보는그런–소박한 -예술 경험을 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케이트 림(큐레이터,아트플랫폼아시아 대표) 글 중에서
Chon Young-Hee’s ‘Breathing’
Chon started using coarse pumice gel for her painting at around 1994. She found that the material beautifully seeped through the canvas and the surface of canvas still retained pleasant moisture. The effect reminded her of the natural, smooth integration of ink and paper in traditional painting. The course pumice gel also integrated with the canvas to her satisfaction. She first applies the material to the canvas to make a base, and waits until it is all absorbed. Then, she proceeds to layers of color, occasionally running water in them in order to manipulate the concentration. She likens this process to breathing, hence the title of her works: the canvas inhales a layer of material and waits awhile before it is ready to inhale another layer. Chon handles the entire process with her own physical involvement, operating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her brushing with her body.
Chon’s work shares a common thread with the making of Dansaekhwa, in which the artists focus on the changes and effects on the canvas derived from aspects of material that is physically handled by the artists themselves. Dansaekhwa artists’ philosophy on art making thatemphasizes the unification of the material and artistic self,resonated deeply and broadly to the subsequent generation of artists. One aspect that remained was the rediscovery of artistic configuration,integrating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painting and the medium of Western painting. This new reconfiguration meantnot just simply applying the aspects of traditional painting to Western painting, but employing an unchecked and free realization of the fundamentals of traditional painting through the individual artist’s diverse medium and their own specific working method. It gave rise to ‘extended painting’, which was far from reinstating the pure, traditional or East Asian attributes; it was to find a connection and create a connected form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 ]
Chon Young-Hee said, “The painting, rather than something that has been completed, is the state of eternal incompletion; something like an incomplete mindscape that is always in the making.” I want to explain that this incomplete mindscape refers to the reflection of the state that recognizes that everything cannot be clearly or rationally defined. For this reason, viewers experience a psychological or emotional space when they stand in front of Chon Young-Hee’s painting. Within this space, you can momentarily suspend the everydayness and just stare at her works, trying to remember or imagine new feelings and consciousness. It is important to restore this kind of art experience, as humble as it may be.
Kate Lim (Curator, Director of Art Platform Asia)